데인슬레이프 모티브
데인슬레이프
Dain's Leif = Dain's Legacy
난쟁이 다인의 유산이라는 의미임
- 사람이 아니라 검인데 북유럽신화에서 등장하는 5대무구중의 하나인 마법검인데
- 일단 검을 뽑으면 무조건 누군가의 피를 봐야 멈추는 마검이고
- 이 검에 의한 상처는 치유가 불가능함
- Hogni 왕이 소유한 검으로 등장함
- 이 호그니 왕이 사랑하는 딸이 힐드(Hild)임
이 힐드가 진 군힐드의 모티브라는 분석도 있음. 꿀잼
https://www.reddit.com/r/Genshin_Impact/comments/mhfd25/meaning_of_norse_names_and_delve_into_norse/
하지만 헤딘왕이 이 딸을 납치해갔고 딸을 구하기 위해 마검을 뽑음. (심연 여행자을 지키려했던 데인?)
- 두명의 왕과 휘하 병사들은 143년 매일매일 싸움. 싸우고 다음날엔 죽은 병사들이 다시 부활해서 루프하는것마냥 또 싸움.
- 전투는 신과 거인들의 전쟁인 모든것이 멸망하는 라그나로크가 시작되면서 끝나는데 그래서 데인의 등장은 라그나로크의 암시라는설도 있음.
- 원신 데인의 직업은 여광의 검이고 여광 = twilight sword = 황혼 = 신들의 황혼 라그나로크 암시함.
- 데인은 가지의 수호자임. 여기서 가지는 세계수일텐데 니벨룽의 반지에선 세계수의 가지를 꺾어 창을 만든 보탄의 이야기가 등장함
- 보탄(오딘)은 지혜를 얻기 위해
1.미미르의 샘에 한쪽 눈알을 바침
2. 세계수에 거꾸로 매달렸고 자신의 몸에 창을 찔러넣음 . 이창이 세계수의 가지를 잘라만든 보탄의 힘과 권위를 상징하는 궁니르인듯
-> 그리고 이때 세계수에 난 상처로 세계수가 죽어가며 라그나로크가 다가오게됨.
이 창은 결국 영웅 지크프리트에게 부러지는데 보탄의 시대는 저물고(라그나로크) 영웅 지크프리트의 시대가 열릴것이라는 해석이 있음,
데인이 심연행자를 구하기전 나부터 이기고 자격을 증명해라는게 보탄과 지크프리트의 다툼을 암시하는게 아닌가싶기도함. 결국 영웅 행자의 시대가 오려면 지난 보탄의 시대는 저물고 그의 창도 부러져야하기때문에
마검 데인이 보탄의 창의 역할을 하는셈이라는게 결론임.
(니벨룽의 반지에선 마검 데인이 안나옴. 뀡대신 닭이라고)
- 보탄 = 엘민왕이라면 그가 심연의 지식을 얻던 일에 데인이 관계되어있고 결과적으로 켄리아가 멸망하게 된것일수도있을듯.
정리
데인이 황혼의 검이자, 엘민왕가 친위대라는 설정
- 황혼 = 라그나로크를 암시하며 엘민왕은 보탄(북유럽신화의 주신 오딘과 관계가 있음.
데인슬레이프 = 니벨룽의 반지에서 보탄의 권위를 상징하는 창과 대응이 될수있음
- 보탄은 세계수의 가지를 뜯어서 창을 제작함.
창은 보탄의 힘과 권위를 암시함
- 보탄의 창은 영웅 지크프리트에게 두동강나는데 이장면은
보탄(신)에서 (인간) 지그프리트로의 세대교체
보탄이 주신인 세계의 멸망, 즉 라그나로크를 암시함
- 데인이 행자의 자격을 시험하는 것과 관계있을수도 있음
- 하지만 보탄이 지혜를 얻기위해 가지를 뜯어 (창을 만듦) 세계수에 상처입히는 행동이 결과적으로 라그나로크를 불러오게됨.
마검 데인은 니벨룽의 반지에는 안나오는듯. 작품에서 세계수랑 라그나로크와 연관이 있는 무기가 저거뿐인거같음. 다른전설에선 오딘의 창, 궁니르로 등장함
결론
보탄(엘민왕)이 지혜(심연의 지식)를 얻기위해 세계수가지 뜯어서 창을 만들었는데 보탄의 권위를 상징하는 이 창이 데인일수도 있음.
켄리아가 많고많은 작품중에 니벨룽의 반지를 모티브로 한 이유는 신들의 시대가 저물고 인간의 시대가 열린다는 전체적인 주제가 동일하기 때문인듯